전자융합공학과 교과과정
전자융합공학 프로그램은 기본 지식을 활용하는 설계능력, 현장 실무능력, 현재의 기술수준에 대한 지식, 팀웍, 의사전달 능력 등 다면적 능력을 소유한 전문가의 양성을 위해서 졸업시점에서 지니고 있어야 할 10가지 학습 성과를 설정하였다.
각 교과목의 교육내용 및 목표로 10가지 학습 성과를 달성하도록 설정하였으며 여러 평가 도구를 이용하여 달성 여부를 평가하도록 하였다. 특히 산업체, 연구소, 졸업생, 재학생 등 구성원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교육목표, 학습 성과의 내용, 교과과정 등을 순환적으로 계속 수정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였다.
프로그램의 원활한 운영을 위해서 내부에 프로그램 위원회, 교과과정 위원회, 평가위원회, 산학자문위원회, 전산 및 실험실습위원회가 구성되어 있다.
전자융합공학과의 교과과정 구성도
-
기초 및 일반전공
전문소양
수학, 기초과학, 전산
전자, 정보, 통신기초
전공일반
-
전공융합심화전공
전자융합심화전공
지능형 무선통신시스템
VLSI설계
유비쿼터스통신
멀티미디어 응용
이동통신 네트워크
무선통신 회로설계
안테나 융합시스템
디지털통신
전자융합실험
-
융합분야
전자융합심화전공
방송, 통신, IT융합기술
기계, 에너지, 환경,
IT융합기술
센서, 시스템, IT융합기술
모바일, 클라우드,
IT융합기술
국방, 공공안전, IT융합기술
-
졸업 후 진로
전자정보통신관련 대기업
방송국
정부 주요 부처 및
관련 산하기관
국내 방위산업과
관련된 대기업
전자부품관련 업계
반도체 설계 업계
교과과정 구성(2025학년도 기준)
- 1)필수교양: 광운인되기
- 2)균형교양: 대학실용영어, 언어와표현, 과학과기술, 인간과철학, 사회와경제, 글로벌문화와제2외국어, 예술과체육, 수리와자연
- 3)기초교양: 대학수학및연습1/2, 공학수학1/2, 이산수학, 벡터해석학및연습, 선형대수학, 대학물리학1, 대학물리및실험2, 대학화학, 대학화학및실험1/2, C프로그래밍, C프로그래밍응용
- 4)전공기초: 공학설계입문, 기초회로실험1/2, 반도체소자1/2, 회로이론1/2, 전자기학1/2, 디지털공학, 컴퓨터구조, 데이터사이언스, 정보통신과융합기술, 미래사회와과학기술
- 5)전공일반: 확률및불규칙신호론, 수치해석, 전자회로실험1/2, 전자회로1/2, 마이크로프로세서, 통신이론, 자료구조와알고리즘, 초고주파공학, 디지털신호처리, 디지털통신, 응용수치해석, 머신러닝, 임베디드시스템
- 6)전공심화: 캡스톤설계1/2, 전파융합시스템실험, 전자융합시스템실험, 융합반도체공정, 스마트안테나, 영상신호처리, 무선통신회로, 무선통신시스템, 지능형반도체공학, 바이오전자공학, 자동차전자, 초고주파 응용, 컴퓨터네트워크, 통신융합시스템, 디지털헬스케어